보도자료
Home - 커뮤니티 - 보도자료
[아유경제_부동산] 인천시, 도시기본계획 변경… 원도시ㆍ신도시 균형발전 도모
BY 조명의 기자2025.01.03 21:20:18
380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인천광역시가 원도심과 신도시 간 균형발전을 최우선 목표로 하는 도시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인천시는 2024년 12월 31일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변경`을 확정ㆍ공고했다고 최근 밝혔다.

변경안은 상위계획인 `2040년 수도권광역도시계획`을 수용하고, 최근 제정된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노후계획도시정비법)」,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철도지하화 특별법)」 등 관련 법률을 반영해 인천의 미래상을 `어디서나 살기 좋은 글로벌 도시 인천`으로 정했다.

변경된 계획은 원도심과 신도시 간의 균형발전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도시 외곽의 공유수면 매립지에는 구체적인 건축계획이 마련된 이후 용도지역을 결정하는 시차지역제(Timing Zoning)를 도입키로 했으며, 이를 적용해 북성포구 상업용지를 보전용지로 전환해 시민에 개방된 수변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도 포함됐다. 인천의 탄소배출량 중 57.1%가 발전 부문에서 발생하는 점을 고려해, 2045년 인천 탄소중립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해 영흥화력발전소 부지를 조정하고 체계적 발전을 추진한다.

2026년 예정된 행정구역 개편에 대비해 중구 영종도와 서구 검단 지역에는 새로운 행정 조직을 설치하고, 기반시설 설치와 개발사업 시행을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유동지역제(Floating Zoning)를 도입한다.

이번 변경안은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 기반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초안을 수립했다. 언어 모델 기술은 환경, 교통, 토지이용, 공원ㆍ녹지ㆍ방재 등 다양한 계획 간의 정합성을 높이는 데 활용됐다.

아울러 유엔(UN) 정주환경(Habitat)의 지속가능성 지표를 반영해 인천이 국제경쟁력을 갖춘 지속 가능한 도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인천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도시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기존 도시기본계획은 토지이용계획과 인구계획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은 인천 전역에서 시민 삶의 질을 높이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라고 밝혔다.

한편, 시는 이달 중 전략계획 보고서를 발간해 도시전략과 지속 가능한 계획 입지 가이드라인을 공유할 예정이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댓글 0 보기
수정/삭제시 이용합니다.
 66142110
추천 소스보기
목록보기